필자가 우분투를 사용목적을 서브 컴이 아닌 원격 접속을 위한 컴으로 사용하기 위함을 애기 한적이 있다. 그리고 메인컴은 따로 있기때문에 컴퓨터에 전원을 켜두고 랜선만 연결한 상태로 구석에 짱박혀 있는 상태이다.
만약 향후 또는 지금 무언가 해당 서버컴안에 파일을 수정해야 하거나 확인 해야 할것 이 있다고 한다면 기본적으로 모니터를 연결하고 키보드와 마우스를 찾아 여행을 떠나거나 지갑을 열고 있을 것이다.
물론 해당 방법으로 다이렉트로 연결하여 해당 파일 확인 또는 수정 설치하면 매우 확실하고 좋을 것이다.
하지만 더 크게 확장해보자 컴퓨터가 ps2 단자만을 지원하고 내장그래픽이 d_sub 단자만 존재하여 연결할 방도가 없다고 가정하여 보자. 그렇다면 ps2 키보드 마우스를 찾아 떠나고 d_sub 단자를 지원하는 모니터를 찾아 또 삼만리를 찍어야 한다.
더 심각하게 보면 해당 pc는 집에 있고 사용자가 병에 걸려 입원했다고 가정해보자 그런데 한 유저 또는 다른 이용자가 파일서버에 문제가 있다고 기록 확인및 포트가 열려있는지 알려달라는 상황이라면 입원한 사용자가 직접 집에 갈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손 쓸수 없는 상황이라고 생각될것이다.(현재 필자또한 병원에서 이렇게 서버 ssh를 열고 필요한 정보를 설치하고
하지만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ssh (secure shell)을 이용하는 것이다.
일명 시큐어 셀이라고 부른것으로 네트워크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 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열을 내리고 실행시키도록 하거나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응용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가리킨다. 기본적으로 통신경로 자체가 암호화 되어 통신 하기 때문에 공공 네트워크로 통신으 걸어도 어느정도 안전을 확보 하면서 작업을 진행 할 수 있다.
이러한 ssh 프로토콜 및 프로그램이 기본적으로 우분투에는 내장 되어 있다.
우리는 메인 pc 또는 스마트폰(스마트폰의 경우도 ssh 통신을 해주는 어플이 있다.)을 이용하여 우리 서버컴에 접속하면 된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pc windows를 사용한다는 가정으로 접속방법을 설명 하겠다.
windows에는 아쉽게도 바로 ssh통신을 해주는 프로그램이 없다. 이를 위해서는
해당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면
이렇게 영어가 많지만 당황하지말고
you can download PuTTY here 을 선택하자
그렇다면 패키지로 받을지 아니면 단일 실행 파일만 받을지 물어본다.
이는 필요에 맞춰서 msi 파일을 받거나 putty.exe 파일만 받는것을 선택하면 된다.
패키지 파일 또는 실행파일을 받고 putty.exe를 실행 시킨다면
이러한 프로그램 창이 나올것이다.
접속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이런식으로 ip 주소 포트만 선택해주면 연결할 준비가 끝이다.
+ 우분투 ip 주소 보는방법
윈도우에서 cmd 열고 ipconfig를 치면 ip 주소가 나온다는 것을 알고 있는 분들도 있을 것이다.
우분투는 터미널에서 ip주소를 볼수 있다. 하지만 명려어가 조금 다른 ifconfig이다. 이점이 다르기에 알아두면 편리하다,
또는 네트워크 - 연결 정보를 통하여 주소를 확인 할수 있다.
위와같이 ip 주소를 확인 하고 putty에 입력을 하고 접속을 하면 된다.
접속을 하면
위와 같이 id 와 pw을 요구한다. 이때는 우분투 생성시 기입한 로그인 id pw를 입력해주면 된다.
이렇게 나온다면 연결에 성공한 것이다.
이제 기본적으로 원격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 까지 알게 된것이다. (여기까지만 알아도 나름 서버 관리자라는 느낌(?) 같은 느낌이 든다 ㅋㅋ)
이후 ftp 서버 및 transmission 등 필요한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볼것이다.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dd 커맨드를 이용한 ubuntu 마이그레이션 (3) | 2020.08.27 |
---|---|
4. SCREEN 설치 및 사용법 (0) | 2019.11.14 |
2. ubuntu nano 에디터 설치 (0) | 2018.03.09 |
1. ubuntu 설치 (0) | 2018.03.05 |
0. ubuntu 소개 (0) | 2018.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