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een 이라는 우분투 ssh 툴이 존재 한다.
ssh를 사용하는 사람들 중에 굳이 작업을 유지할 필요가 없는 작업을 한다면 필요 없겠지만 서버를 운영하거나 여러 러닝 및 작업이 길게 진행될경우 ssh 연결이 끊기는 경우에는 진행중이던 작업도 끊기게 된다.....
특히 build중 서버와 연결이 끊어지거나 컴퓨터를 끄고 자리를 이동해야하는 경우에는 필수품이 될것이라고 예상한다.
기본적으로 ssh나 터미널로 연결하는경우 직접적으로 로그인하여 세션을 가져가는 방식이라면
스크린은 원격접속한 세션에 가상의 창을 하나 만들어 계속해서 작업이 진행되도록 해주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물론 서버가 재부팅을 한다면 그 스크린들은 모두 날라가 있는다.... 다시 열어줘야 하지만... 그래도 그이외상황에서는 매우 편하다...
나중에 추가될 마인크래프트 서버 제작이라던지 텐서플로우쪽 설치나 진행과정에서 이러한 서버를 만들거나 유지해야 하는 경우에 매우 편리하게 사용될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먼저 추가 해두었다.
그럼 설치 방법을 알아보자
1
|
$ sudo apt-get install screen
|
이걸로 끝.... 설치는 매우 간단하다.
이제 사용방법을 알아보자.
screen 만들기
1
|
$ screen -R screen_name
|
스크린 이름을 정하여 새로운 스크린을 만듭니다.
screen 리스트 확인 하기
1
2
3
4
5
6
7
|
(base) park@park-desktop:~$ sudo screen -list
There are screens on:
4460.makedataset (11/14/2019 10:19:14 PM) (Detached)
3219.tensorflow (11/14/2019 07:28:49 PM) (Detached)
3076.poket (11/14/2019 07:24:53 PM) (Detached)
1890.mine (11/14/2019 07:23:08 PM) (Detached)
4 Sockets in /var/run/screen/S-root.
|
스크린을 만들었던 세션들을 보여줍니다.
screen 만들어둔 세션으로 이동하기 및 나가기
1
|
(base) park@park-desktop:~$ sudo screen -r screen_name
|
해당이름의 스크린으로 이동합니다.
나가는 방법은 control+a+d로 들어온 스크린에서 작업을 유지한채로 나올 수 있습니다.
종료하는 방법은 해당 스크린에 접속한후 exit를 적어주면 해당 스크린을 종료하고 터미널로 돌아옵니다.
이외 다양한 이용명령어가 많으니 자세한것은 다른 곳을 찾아보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owncloud desktop client 연동 및 자작 nas 동기화 설정 (0) | 2020.10.11 |
---|---|
dd 커맨드를 이용한 ubuntu 마이그레이션 (3) | 2020.08.27 |
3. ssh 터미널 접속 하기 (0) | 2018.03.09 |
2. ubuntu nano 에디터 설치 (0) | 2018.03.09 |
1. ubuntu 설치 (0) | 2018.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