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 프로젝트 도전기/lcd 재활용 프로젝트

폐 lcd 재활용 프로젝트 - 6

박재완 2021. 5. 7. 09:00
728x90
반응형

6주차

노트북 패널 제작시 실수와 몇가지 문제점을 발견 새로운 모니터 패널 분해

이후 해당 패널을 이용한 스마트 케이스 제작을 위한 부품 또는 케이스 재설계

 

1. 새로 수집된 모니터 패널 분해

-분해된 노트북 패널 또는 케이블등의 손상으로 인해서 새로운 패널로 변경 하였습니다. 아래 과정은 기존 노트북 패널을 분해 하던 장면과 같습니다.

모니터 분해 및 12v 전원 공급 후 테스트

+ 이번 수거된 폐 lcd 모니터의 경우에도 같은 led backlight 방식이 였습니다. 파워 서플라이어(220v -> 12v) 변환 부분의 고장이 이였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고 12v를 공급하니 정상 작동 하는 것을 확인 하였습니다. 추후 컴퓨터 케이스내에서 12v 공급원을 찾는 것이 편리 하기 때문에 컴퓨터 케이스 side on lcd에 적합할것으로 예상 됩니다.

 

하지만 크기의 문제로 일부 설계점에 대해서 변경을 하거나 새로운 설계 방안이 필요 할 것으로 예상 됩니다.

 

2. 설계 및 프린팅 출력

-변경된 패널 크기에 맞춰서 새로운 고정대를 설계하는 중입니다. 추후 케이스에 맞게 조립이 가능하도록 변경 될 예정입니다.

고정 프레임 설계 중 캡쳐본

현재 고정대는 풀력까지 완성하여 조립이 되는 수준이되었지만 아직 케이스에 고정하기에는 수정이 필요하여 수정이 되어 결합이 된후 (2주뒤쯤으로 예상됩니다,) 사진을 첨부 하겠습니다.

 

3. msla pcb 감광 기판 이용 과정 정리

-에칭 가루 및 감광 기판이 금일(05/08)에 도착했습니다. 현재 양도받은 프린터를 이용한 실험과 함께 7주차 또는 8주차에 실험이 진행 될것으로 예상됩니다.

도착한 국내에서 구매 가능한 감광 기판 및 에칭 현상제 물품

+현재 양도 받은 프린터기기의 수리가 완료되어 감광 용도로 사용이 가능해 졌습니다. ohp 필름 없이 진행 가능한 감광 기반 pcb 제작에 사용하게 될 것 같습니다.

 

 

 

이번에 새롭게 분해한 lcd의 경우 크기가 크며 해상도가 HD(1280 * 720)이기 때문에 dlp 프린터의 slma 방식으로는 부합 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 하여 컴퓨터 케이스 투명 디스플레이로써 확인 해볼 예정입니다.

현재 노트북에서 수거한 기존 패널에 케이블의 손상으로 인해서 주로 실험적인 용도로 사용하게 될것같습니다. (backlight 테스트 및 편광 필름 테스트 등)

양도 받은 dlp 프린터의 센서 수리가 완료되어 해당 기기를 이용하여 추후 소형 lcd를 수거하였을 때 이러한 결과물이 나올것으로 예상 된다라는 비교군 실험에 사용 될 것 같습니다. (현재 감광 기판 용 재료를 해당 프린터에 적용 해볼 예정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