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주차
이번 프로젝트를 정리하는 주차로 정하였습니다.
1. 소형 lcd를 이용하여 dlp 프린터와 fdm 프린터의 비교
만약 소형 lcd에 고해상도 lcd를 구했다면 제작까지 진행 하였겠지만... 해당 조건에 맞는 lcd를 구하지 못하여 기성품을 이용하여 진행 하였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서 fdm와 dlp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는 프로젝트였습니다. 인쇄 방식에 따른 속도 차이 그리고 기존 노즐이 작아지고 유입량의 한계로 인해서 layer를 쌓아가면서 공차가 0.4mm ~ 0.014mm 까지 존재할 때 이를 줄이는 기술이 적용 될 때 마다 프린터의 가격은 몇십만원에서 크게는 수십억원까지 올라가는 현상을 보여줬습니다.
하지만 dlp 프린터의 경우 화면의 해상도 즉 픽셀의 밀집함과 픽셀 크기로 이러한 오차를 픽셀 크기만큼 낮출 뿐만 아니라, 기존 layer 방식의 fdm 프린터에서 전체 면을 잘라서 인쇄하기 때문에 시간적으로도 fdm 방식과 차이를 보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디스플레이를 이용하고 해상도에 의존하기 때문에 크기가 커지면 커질수록 이또한 액정에 대한 가격이 올라가며, 더 높은 해상도를 요구해야지만 고품질의 인쇄 품질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다양한 3d 프린터 종류와 그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는 기회가 되었던거 같습니다, 추후 다른 프린터를 이용해 설계를 할때도 또는 다른 프린터를 직접 만들게 될 때도 이러한 점들을 분석했던 것들을 바탕으로 참고해 나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소형 lcd를 이용하여 dlp 프린터의 광원을 이용한 pcb 마스킹 프로젝트
현재 소형 lcd를 이용하는 프린터를 이용하면 기존에 ohp 필름을 구리판에 겹쳐두고 감광제를 이용하여 감광시 ohp 필름에 회로도를 인쇄하면서 ohp 필름과 레이저 토너를 계속해서 소모 했지만, 디스플레이와 uv 광원을 이용한다면 이러한 ohp 필름과 레이저 프린터 토너를 사용하지 않고 조사가 가능하며 수정할 부분이 생긴다하더라도 미리 화면에 띄워 보는 것으로 문제점을 기판에 인쇄하기 전에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좀더 과정을 단순화 시켜주며 소모품의 소모를 좀더 효율적으로 낭비를 막아줄것으로 생각되는 프로젝트 였습니다.
3. 백라이트 고장품을 이용한 투명 케이스 제작 포로젝트
백라이트를 이용하여 투명 케이스를 제작하였습니다. 이번에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고려사항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우선적으로 케이스들의 디자인과 크기등이 어느정도 규격을 가지고 있지만 다들 기능적인 옵션을 추가하면서 설게된 모양들이 다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케이스 옆에 고정하는 것만으로도 많은 설계적 난관으로써 직면하게 되었던거 같습니다.
또한 기존 모니터로써 사용되던 액정의 경우 편광액의 양이 매우 진하게 들어가 있기 때문에 이를 일반적인 광량으로는 내부 시인석이 나빠질 수 밖에 없었으며, 기존에도 아크릴, 확산 필름 등을 이용해서 빛을 일정하게 분사하는것과는 다르기 때문에 시인성 면에서도 매우 좋지 못하였습니다.
현재 이와 비슷한 방법을 이용한 투명 케이스들에는 전용 lcd 즉 편광 필름의 농도를 줄인것들을 사용하고, 안과 밖의 밝기 차이를 크게 주어 좀더 선명한 화면을 이끌어 냈습니다.
하지만 현재 주워진 재활용이라는 포인트 내에서는 이를 해결할 방법은 광량 뿐이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밝은 밝기를 가진 led를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광량에도 제대로된 확산을 이끌어 내지 못하여서 아래와 같이 배경화면 에 따라서 시인성이 매우 많이 차이가 났습니다. 추후 시간과 기회가 된다면 직접 이러한 전용 디스플레이를 제작 또는 사용하여 완성 시켜보고 싶다는 생각까지 들었습니다.
4. 추후 새롭게 진행해볼수 있는 프로젝트들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기존 lcd가 작거나 오래되었다는 이유로 많이 버려지는 경우에 대한 프로젝트또한 생각 해보게 되었습니다. 현재 스마트홈에 맞춰서 기존 모니터에 전반사 거울 필름을 이용한 스마트 미러 프로젝트등 좀더 새로운 방향으로 단순히 오래되어 버리기 보다는 필요한 부품을 분해하기 보다는 기존에 것 그대로 추가적인 부품을 붙여서 새롭게 재탄생 시킬 수 있는 프로젝트를 다시금 생각 해보게 되었습니다.
또한 dlp 프린터의 광원 방식을 이용하여 만든 pcb의 경우 현재 1layer 가 한계였습니다. 하지만 추후 방법을 강구해서 ohp필름 과 비슷한 형태로 2layer을 감광 인쇄하는 방법을 찾아볼 예정입니다.
+ 폐 모니터를 좀더 구하게 된다면 추후 smart mirror 프로젝트도 진행해보고자 합니다.
'미니 프로젝트 도전기 > lcd 재활용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 lcd 재활용 프로젝트 - 14 (0) | 2021.05.15 |
---|---|
폐 lcd 재활용 프로젝트 - 13 (0) | 2021.05.14 |
폐 lcd 재활용 프로젝트 - 12 (0) | 2021.05.13 |
폐 lcd 재활용 프로젝트 - 11 (0) | 2021.05.12 |
폐 lcd 재활용 프로젝트 - 10 (0) | 2021.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