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회 준비/N15_기자단

N15 Partners 방문기

박재완 2020. 12. 1. 11:36
728x90
반응형

오늘은 N15에서 스타트업을 발굴 하고 전문적으로 이들을 투자, 육성하는 기관인

N15 Partners에 방문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N15 Partners는 이전 N15발대식에 방문했던 서울역 근처 같은 장소에 위치해있다.

 같은 곳이기 문에 방문증을 발급 받고 들어갔다.

언젠가… 이런 사원증 하나 생기겠지?... 

이상한(?) 기대감을 가지면서 방문한 N15 Partners와의 인터뷰가 시작 되었다.

 

1. N15 Partners란?

 

2015년 제조/메이커스페이스 기반으로 설립된 ‘N15’은 스타트업 발굴 * 투자 *육성을 전문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2018년 별도의 법인으로 ‘N15 Partners’를 설립하여 중소벤처기업부 공식 액셀러레이터로 등록 되었으며, 2019년 팁스(TIPS) 운영사로서 초기 스타트업을 전문적으로 발굴하고 투자 육성을 진행하고 있는 곳이다.

또한 N15 제조, 기술지원과 N15 Partners액셀러레이팅, 오픈이노베이션, 금융지원 을 연계에서 독자적인 지원 프로그램도 개설하여 다양한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것을 기능적 목표로 하여

운영되고 있다.

 

2. N15 Partners의 스타트업 선정 기준

 

파트너 사와 스타트업 간에 서로 시너지를 줄수 있는 스타트업이라면

추천한다고 한다.

 

또한 정부지원들과 다르게 투자금에 대한 회수를 목적으로 두고 있기 때문에 수익성, 사업성 등을 기준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시장성과 사업성이 검증된 스타트업이

은 점수로 선정될 수 있다고 한다.

 

이외에도 각 팀의 팀워크나 사업성과 등이 또 다른 요인으로 작용 할 수 있다고 한다.

 

즉 이런 부분을 정리해본다면

정량 평가 기준으로 시장의 규모 및 성장성, 경쟁 강도, 매출액, 재무 건성 등 있다면

정성 평가 기준으로 경쟁사 대비 차별점, 경영진 리더십과 도덕성, 경영철학, 사업 법률 이슈 등도 다양한 평가 요소로 작용 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3. 선정된 스타트업들이 받게되는 프로그램이나 혜택은?

 

선발된 기업은 다양한 지원 헤택을 받을 수 있다고 한다.

 

그 예로 사업/기술 고도화 지원이 있다.

국내외 유수 대기업-혁신 스타트업 수요 기반 기술 및 신사업 공동 개발 연계를 받을 수 있으며 프로토타입 및 지식재산권 지원 사업 연계를 통해 스타트업 제품 제조와 서비스 개발을 원스톱으로 지원 받을 수 있다.

이외에도 온오프라인 마케팅 채널 연계 및 온라인 홍보물 패키지 제품 소개서 등 커머스 활동에 필요한 디자인도 지원을 받을 수 있다고 한다.

이 외에도 사업 운영지원에 필요한 자본 조달 지원 공간 지원(N15 서울 스퀘어, 용산디지털 대장간 보육공간 등)받을 수있다.

또한 각 전문가 (회계사, 변리사, 노무사 등)의 법률, 회계, 특허, 노무 교육을 받을 수 있다.

 

4. 현재 운영중인 프로그램이 있다면?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        신용 보증 기금 Start-up NEST

-       중소벤처기업부 초기창업패키지

-        한국공예 디자인문화진흥원 전통문화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        인천테크노파크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

-       KB 국민카드 FUTURE 9

-        삼성SDS XEED-LAB Square

-        LG 디스플레이 Open Innovation Forum

-       현대 글로비스 Smart Move Chanllenge

-       현대자동차그룹 Open Innovation 플랫폼 'ZER01NE(제로원)'

 

다양한 기업 분야별/성장 단계별 수요 기반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기업이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입체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5. 보람을 느끼는 순간이 있다면?

 

스타트업이 성장하면서 자신도 성장하는 기쁨을 같이 누릴수 있다고 한다.

또한 투자자가 작성해주거나 피드백에 따라서 스타트업이 투자의 가능성이 매우 많이 바뀌기 때문에 많은 책임감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또한 다양한 분야를 직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기 문에 다양한 분야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는 것이 이러한 일을 하면서 얻게된 보람이라고 한다.

 

6. 일반적인 스타트업  투자와 정부 지원 사업(Ex. 중소벤처기업부 초기창업패키지 등) 의 차이점은?

 

이는 지원금과 투자금으로 생각한다면 편할것이라고 한다.

 

정부 지원금은 수익적인 면보다 기업의 성장에 초점을 맞추어 운영 되는 반면, 투자의 경우 실질 적인 수익 창출을 위해 기업의 수익성, 사업성, 성장성에 초첨을 맞추어 진행 된다.

 

 

 7. 미래 투자자들을 위한 투자자로써의 필요한 역량이 있다면?

초기 스타트업의 다방면 적인 부분을 지원해야 하므로 하나의 스페셜리스트(Specialist) 보다는 제너럴리스트(Generalist)를 필요로한다.

어떤 문제에 직면했을 문제해결 능력과 숫자적인(금전적) 이해도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다양한 문서작업(기업 소개서 또는 투자 계약서등)과 여러형식의 문서 편집(한글, 엑셀, 등등)에 있어서 편집능력을 많이 요구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하나만 집중적으로 하기보다는 다양한 분야를 이해하고 이를 녹여 낼 수 있는 사람이라면 좋은 스타트업 투자 관리자가 될 수 있을것이라고 한다. 

이렇게  N15 Partners의 전략투자팀 팀장님께서 아주 자세하고 알기 쉽게

N15 Partners에서 하는 일과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들에 대해서 설명해주셨다.

나는 이번 인터뷰를 통해서 자본금 투자자 VC TIPS 와 같은 투자와 경제와 같은 개념이나 언어들은 나에게는 크게 다가올 일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번 인터뷰를 통해서 다양한 기업체에서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될 수 있는 좋은 기회 였던 것 같다.

 

 

 

-N15 대학생 기자단 영트라프리너 박재완

728x90
반응형

'대회 준비 > N15_기자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자단 해단식  (0) 2020.12.27
n15 PROTO X 방문기  (0) 2020.12.11
디지털 대장간 방문기  (6) 2020.11.11
서울글로벌창업센터 방문기  (0) 2020.11.05
N15 대학생기자단 발대식  (0) 2020.10.27